보청기 지원 대상 및 금액(2025년 기준)
- 청각장애인 등록자: 최대 131만 원(기본형, 5년마다 1회)
- 기초생활수급자: 전액 지원(일부 지자체 추가 지원 가능)
- 차상위계층: 일부 본인 부담, 보조금 지원
- 노인(65세 이상): 일부 지역 무료 보청기 시범사업 운영
※ 지원 금액과 조건은 지역 및 개인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보청기 지원금 지원자격
- 청각장애인 등록 필수(이비인후과 전문의 진단서 필요, 양측 80dB 이상 등 진단 기준 충족)
-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
-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은 추가 지원 가능(주민센터·복지담당 확인)
- 노인은 장애 등록 없이 일부 보건소 시범사업 참여 가능(지역별 상이)
보청기 지원금 신청 절차
- 이비인후과 방문 → 청력검사 및 진단서(보장구 처방전) 발급
- 장애인 등록 신청(읍면동 주민센터)
-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보장구 급여(보청기 지원금) 신청
- 승인 후 의료기기 등록업체에서 보청기 구입
- 구입 후 영수증, 착용 확인서 등 서류 제출
- 보청기 착용 1개월 후 검수확인서(음장검사 등 효과 확인) 재발급
- 모든 서류 제출 시 2~3주 내 지원금 지급(통장 입금)
※ 보청기 구입은 처방전 발급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진행해야 하며, 구입 후 1개월 이상 착용 후 검수 확인이 필요합니다.
필요 서류 요약
- 이비인후과 진단서(보장구 처방전)
- 장애인등록증(복지카드)
- 보청기 구입 영수증 및 거래명세서
- 보청기 바코드, 의료기기 판매업 신고증(판매점 제공)
- 보장구 급여비 신청서(판매점 제공)
- 보청기 착용 1개월 후 검수확인서(이비인후과 재방문)
자주 묻는 질문(FAQ)
-
Q1. 일반 노인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장애인 등록이 없으면 국가 지원금 지급이 어렵고, 일부 지자체·보건소에서 무료 보청기 시범사업을 운영합니다. 해당 지역 복지관·보건소에 문의하세요. -
Q2. 지원금은 언제,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기본형 기준 최대 131만 원(양이 지원 시 2,620,000원), 5년마다 1회, 기초수급자는 전액 지원. -
Q3. 보청기 구입 후 바로 지원금이 지급되나요?
아니요. 1개월 이상 착용 후 검수확인서 등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, 이후 2~3주 내 지급됩니다. -
Q4. 어디에서 신청하나요?
장애인 등록은 주민센터, 보장구 급여 신청은 국민건강보험공단(지사 방문 또는 우편·팩스 접수)에서 가능합니다. -
Q5. 보청기 구입처 제한이 있나요?
의료기기 판매업 등록된 공식 업체에서 구입해야 지원금 지급이 가능합니다.
2025년 보청기 지원금, 꼭 챙기세요!
청각장애인 등록, 이비인후과 진단, 공단 신청, 보청기 구입, 검수확인까지 순서대로 진행하면 131만 원(최대)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·노인도 각 지역 복지 담당자에게 추가 지원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