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인 복지카드 신청자격 및 대상
-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(주민등록 기준)
-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장애인, 국가유공자 등은 추가 혜택 또는 겸용카드 신청 가능
- 일부 지자체는 만 60세 이상 기초수급자도 지원(지역별 상이)
노인복지카드 신청방법
-
온라인 신청
- 정부24(www.gov.kr), 복지로(www.bokjiro.go.kr)에서 ‘노인 복지카드’ 검색 후 신청서 작성
- 공동/금융인증서로 본인인증 후 신청(2~3주 내 우편 발송 또는 방문 수령)
-
오프라인 신청
- 거주지 주민센터(동사무소) 방문 →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) 지참, 신청서 작성
- 복지 담당자 상담 후 접수, 2~3주 내 우편 또는 방문 수령
-
은행 방문 신청(체크/신용카드 겸용)
- 서울: 신한은행·우체국, 경기: 농협, 부산: 부산은행 등 지역별 지정 은행에서 신청
- 신분증·통장(체크카드형은 통장 사본 필요) 지참, 신청 즉시 발급 또는 우편 수령
- 주민센터 발급(단순무임카드)는 만 65세 생일 2개월 전부터 사전 신청 가능, 생일 이후 자동 활성화
- 은행·주민센터 모두 1인 1카드만 발급 가능(중복 불가)
지역별 주요 발급처 및 카드 종류
지역 | 발급처 | 카드종류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서울 | 주민센터, 신한은행, 우체국 | 단순무임, 신용/체크카드 겸용 | 생일 2개월 전 사전신청 가능 |
경기 | 농협은행, 주민센터 | G-pass, 단순무임 | 전입 시 타지역 발급카드 해지 |
부산 | 부산은행, 주민센터 | 어르신 교통복지카드 | 지역별 명칭 상이 |
광주 | KEB하나은행, 주민센터 | 어르신 교통카드(선불/후불) | 신분증, 신청서 필요 |
인천 | 신한은행, 주민센터 | 신용/체크카드, 단순무임 | 즉시발급 또는 우편 |
주요 혜택 및 사용방법
- 지하철·도시철도 무료(무임) 승차, 일부 지역 버스 환승할인
- 일부 카드: 체크카드/신용카드 기능 포함(기초연금 수령계좌 연계 가능)
- 일부 지역: 의료, 문화, 복지시설 할인·포인트 적립 등 부가혜택
- 사용 시 반드시 본인 신분증 지참, 타인 양도·대여 불가(적발 시 1년간 사용정지 및 과태료)
신청 시 유의사항
- 카드 유효기간 만료 전 갱신 필요, 분실 시 즉시 재발급 신청
- 대리 신청 가능(부모님 신분증, 위임장 필요)
- 지역·카드 종류별 혜택 상이, 거주지 주민센터 또는 지역 복지포털에서 상세 확인 권장
자주 묻는 질문(FAQ)
-
Q1. 신청 후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일반적으로 2~3주 내 우편 발송 또는 방문 수령 가능합니다. -
Q2. 가족이 대신 신청할 수 있나요?
네, 위임장과 신분증을 지참하면 대리 신청이 가능합니다. -
Q3. 카드 분실 시 재발급은?
주민센터 또는 은행 방문 즉시 재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. -
Q4. 만 65세 미만도 신청 가능한가요?
일부 지자체는 만 60세 이상 기초수급자 지원, 일반은 만 65세 이상부터 신청 가능. -
Q5. 전국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나요?
교통 혜택은 거주 지역 중심, 의료·문화·복지 혜택은 전국 이용 가능.
노인복지카드, 주민센터·은행·온라인에서 쉽고 빠르게 신청하세요!
만 65세 이상이라면 신분증만 있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본인 상황에 맞는 카드 종류와 혜택을 확인하고,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지정 은